지난 시간에 우리는 대체 돈을 얼마나 모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했단다.
함께 계산해보면서
대학을 졸업하고 마흔이 되기까지 16년간
약 7억 7천만원을 모으게 되면
이후로는 모은 돈을 잃지 않고,
매달 200만원을 쓸 수 있다.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
당장은 아빠한테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겠구나.
‘7억 7천만원?? 그 큰 돈을 어떻게 모으라는 얘기에요?’
‘상상만 할 수 있는 금액인걸요? 나는 못할 것 같아요.‘
큰 숫자가 너희를 겁먹게 했을지도 모르지만,
무척 어려운 일도 모두 해결 방법은 있단다.
지레 겁을 먹고, 피하려 해서는 안된다. 알겠지?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해.
어려워 보이는 일도 잘게 나누어 접근하면
조금은 더 쉽게 느껴질거야.
오늘도 아빠랑 조금은 복잡한 계산을 해가면서
대체 얼마나 어떻게 모아야 목표를 향해갈 수 있을지
알아보자. 화이팅.
* 너무 복잡한 것은 과감하게 생략하자.
1. 현재 자산
우선적으로 너희가 돈 모으기를 시작할 시기에
‘이미 어느정도의 돈을 갖고 있다.’
아니면
‘모아둔 돈은 하나도 없다. ‘
라는 답부터 해야 한단다.
아빠는 너희가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잡았으니,
모아둔 돈은 없다고 가정하도록 할게.
현재 자산 = 0
2. 목표금액, 기간, 수익률, 물가 상승률 지정
목표금액과 기간은 지난 시간에 사용했던
7억 7천만원 / 16년으로 정할거야.
수익률, 물가 상승률은 돈을 모으는 기간동안
얼마나 빠르게 돈을 모을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인데,
수익률이 높아지면 더 적은 금액으로도
목표금액에 도달할 수 있겠지?
비교는 해보겠지만,
과도히 높은 수익률은 현실적으로 달성이 어려우니
지난번에 설정하였던
목표 수익률 연 8%
물가 상승률(저축 증가율) 연 3%
를 사용하자.
매년 돈을 모으는 금액은 물가 상승률에 맞춰 상승한다고 봐야 한다.
그래야 매년 같은 가치의 돈을 모은다고 할 수 있겠지?
그래서 물가 상승률을 앞으로는 저축 증가율로 표현할거야.
3. 현재 자산의 미래 규모 측정
우선은 현재 자산이 불어날 정도를 계산해야 한다.
현재 자산 * (1 + 목표 수익률)^기간
= 0 원…
안타깝게도 우리는 지금 자산이 없으니
수익률이 좋아도 0원이겠지?
4. 모아야 할 돈의 규모 측정
간단하게
목표 금액 – 현재 자산의 미래 규모
= 7억 7천만원 – 0원
= 7억 7천만원
갈 길이 아직 멀어보인다고?
너무 아쉬워하지는 말아.
부지런히 모아서 충분히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단다.
5. 매년 모아야 하는 돈에 대한 계산
(목표 금액 – 현재 자산 * 수익률 ^ 기간) * (수익률 – 저축 증가율) / ((1+수익률)^기간 -(1+저축증가율)^기간)
= 매년 필요한 저축금액(현재 가치)
대입해볼까?
(7억 7천만원 – 0원) * (0.08 – 0.03) / ((1+0.08)^16 – (1+0.03)^16)
= 약 2,114만원
매년 현재 가치 기준으로 2,114만원씩
16년을 모으면
7억 7천만원을 달성할 수 있다는 얘기야.
* 수익률, 저축 증가율 반영치
한달에 약 176만원이란다.
한달에 176만원을 잘 불려 나가면, 16년 후에는 남은 평생을 매달 200만원씩
받을 수 있다는 얘기지.
그런데 사회 초년생이 한달에 176만원씩 저금할 수 있을까?
쉽지는 않겠지만 가능할수도 있는데…
다른 방법은 없을까? 조금더 적게 모아도 목표액에 달성할 수는 없을까?
바로 수익률을 향상 시키면 가능하단다.
연 수익률이 10%가 된다면,
1년에 약 1,800만원,
즉, 월 150만원을 모으면 목표 달성이 가능하고,
연 수익률이 12%가 된다면
1년에 약 1,530만원,
즉, 월 127만원을 모으면 목표 달성이 가능하게 된단다.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겠구나…
‘은행에 저금해서는 1년에 이자 12%는 커녕
아빠가 말한 8%도 말도 안되고,
거기다가 세금도 있는데요?’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세상에서는
은행에 저금해서는 절대 도달할 수 없는 수치긴 해.
그리고 연 12%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 마냥
쉬운 일만은 아니지.
그럼, 다음 몇시간은
수익률을 은행이자 보다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같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 자동 계산기는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 가능합니다.